해상도를 극복하자 (1/2)

1. 정보 전달의 요소

 

게임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를 통한 SW가 하는 일 중에 하나는 ‘정보의 전달’이다정보의 전달은 눈촉각 등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것을 현실화 시키기 위해서 그래픽을 출력하고 사운드를 출력하며 진동을 발생시킨다그것들 중에 내가 그 동안 해왔던 부분은 그래픽을 통해 정보를 전달하는 부분이다비록 내가 게임 업계에 종사하고 있지 않아서 그 맥락을 잘 못 짚을 수는 있겠지만적어도 내가 해왔던 일 안에서는 그래픽을 통한 정보 전달이라고 하면 ‘이미지’와 ‘글자’를 통한 전달이 대부분이다.

 

‘이미지’에서는 2D, 3D로 나눌 수가 있으며 평면적인 그림 형태나 추상적인 아이콘의 형태나 3D 모델을 이루는 텍스쳐도 모두 이 ‘이미지’라는 것으로 아우를 수 있을 것이다또한 ‘글자’라고 하면 문자 출력을 통해 정보를 좀 더 구체화시키기 위한 여러 방법들까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게슈탈트 붕괴를 시키면 글자도 이미지이므로 결국 모든 것은 이미지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다)

 

그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미지와 글자가 출력되어야 하는데여기에 담긴 정보의 크기가 크면 클수록 표현의 품질은 더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하지만 정보의 크기를 크게 한다고 하여도 그것을 표현하기 위한 장비가 그 정보를 모두 수용하지 못하면 그것은 무용지물이 된다예를 들어 640x480인 동영상을 176x220인 휴대폰에서 재생하려면 많은 정보를 고의적으로 제거해야지만 제대로 화면에 출력을 할 수 있을 것이다결국 이 동영상을 처음부터 176x132로 인코딩한 것과 이론적으로는 동일한 품질 밖에 내지 못한다방금 예를 든 휴대폰에서의 문제의 원인은 무엇인가그것은 바로 소형 휴대 기기의 표현의 한계다시 말하면 해상도의 문제인 것이다.

 

이렇듯 기기에는 많은 표현의 제약이 있고우리는 여기에서 최대한 많은 정보(위에서 말한 ‘이미지’와 ‘문자’)를 나타내어 주기 위해 머리를 싸매고 있다본 강좌에서는 이런 고민을 하는 사람들을 위해 해결책 중에 한가지를 소개하려 한다.

 

 

 

 

2. 원자 구조와 픽셀 구조?

 

해상도가 낮은 기기에서 더 많은 표현을 하려면 어떤 방법이 있을까그것을 생각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본적인 구조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어릴 때 보던 과학 책에서는 원자 구조는 양성자+중성자와 전자로 이루어져 있다고 배웠다그런데 대학교에 들어가니 이것을 더 쪼갠 쿼크라는 존재를 알려주어 물질의 기본은 원자로부터’라는 종래 가치관을 근본부터 무너뜨렸다그럼 이것을 그래픽스에 적용해보자래스터 그래픽의 최종 단위는 픽셀이다’라는 절대 명제는 그래픽스 이론 서적에서도 제일 앞장에 나오는 말이다최근 서적에서는 잘 모르겠지만하여간 음극선관의 전자총의 원리와 함께 픽셀의 컬러가 조합되는 내용은 이 분야의 가장 기초적인 지식이었다그럼 앞서 말한 원자와 쿼크의 관계를 픽셀에도 적용해 보는 것이 이번 장의 주제이다..

 

불과 30년 전만 해도 우리는 흑백 TV를 보았었다그러다가 모 회사에서 ‘이코노 칼라 테레비젼’라는 히트작을 만들어 내면서 비로소 일반 서민(?)들도 컬러로 보내지는 방송을 볼 수 있게 되었다그 전까지는 ‘총천연색’이란 용어가 마케팅에도 쓰일 만큼컬러 화면이라는 것은 흔한 볼거리는 아니었다그런 이코노 테레비가 우리 집에도 한 대 들어 오게 되었고 14인치인데도 불구하고 아주 멀리 떨어져서만 보아야 하는 귀한 물건이 되었다.부모님의 잔소리에도 불구하고 매우 가까이서 TV를 보던 중 이상한 것을 하나 발견했다브라운관에 우연히 물방울이 하나 떨어지게 되었고 그것이 돋보기 역할을 하여 문제의 ‘픽셀’이란 것의 정체를 알게 된 것이다그때 기억하는 그의 모습은 다음과 같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단순한 유리라고만 알았던 것이 자세히 보면 벌집 같은(그때는 그렇게 느꼈다)것이 모여 있고 그 벌집 모양 하나 하나는 다시 빨강녹색파랑으로 이루어져 있었다좀 더 자세히 관찰해보니 그 3개의 불빛이 밝아졌다 어두워졌다 하는 것을 통해 한 색으로 병치 혼합되었고 그것들이 모두 모여서 하나의 화면을 구성했다당시에는 큰 발견이라 생각했지만 어른들은 그다지 관심을 가져주지 않았다.

 

그럼 다시 원자와 쿼크의 관계처럼 픽셀에 대해서도 정리해보자그러면 아마도 ‘하나의 픽셀은 빛의 삼원색을 나타내는 더 작은 요소로 되어 있고그 요소들의 가산 혼합에 의해 하나의 픽셀의 색을 결정하게 된다’라고 내용을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그렇다면 문제는 그 요소들이 어떤 식으로 배열이 되어 있냐는 것인데… 그것이 이 강좌의 핵심적인 부분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내용이다.

 

 

3. 픽셀 구조의 이해

 

모든 강좌에서 남을 가장 쉽게 이해시키는 방법은 직접 눈으로 보여주는 것이다내가 이야기 하고자 하는 것을 쉽게 이해 시키기 위해 사진 하나를 첨부했다. (NDS 화면이다)

 

<사진>

 

왼쪽에는 보라색 선이 세로로 2개가 있고오른쪽에는 보라색 선이 세로로 3개가 있다그런데 여기서 왼쪽이 일반적인 보라색을 출력한 것이고 오른쪽의 것은 실제로 세로 2픽셀의 영역에 3개의 선을 보이게 한 것이다.정확하게 이야기 하면 중간의 선은 실제로 어느 픽셀의 소속이라고도 말하기 어려운 상태이다그러면 어떻게 이렇게 되는지 다음 그림을 보면 이해가 될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의 그림은 픽셀 구조를 확대해서 그린 것이고 오른 쪽의 그림은 설명을 위해 약간의 부가적인 정보를 추가했다.

 

우리는 빨간색과 파란색을 섞으면 보라색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그래서 일반적인 프로그래밍으로 보라색을 표시하면 왼쪽의 선과 같이 출력이 된다하지만 빛의 합성 원리 입각해서 보면 (1)도 보라색으로 보이지만(2)도 보라색으로 보여야 한다오히려 보라색의 경우에는 이렇게 어중간한 픽셀에 만든 선이 더 보라색에 가깝다실제 병치 혼합되는 거리가 가깝기 때문이다. (눈으로 직접 봐도 같은 결과다) (2)의 부분은 실제 8번 픽셀과 9번 픽셀의 경계를 걸쳐 형성되었는데 이렇게 만들려면 8번 픽셀은 파란색, 9번 픽셀은 빨간색으로 출력해야 한다.

 

방금 보라색의 예를 들어 보았다그렇다면 흰색의 경우는 어떨까흰색은 빨간색녹색파란색이 모두 가장 밝은 상태가 되면 만들어진다위의 보라색의 예와 같이 픽셀의 경계를 무너뜨리게 되면 다음과 같은 조합도 모두 흰색이 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1)은 평범하게 3x3의 흰색을 출력했을 때의 결과다그리고 (2)는 청록색-흰색-흰색-빨간색의 4x3을 출력한 것이고마지막 (3)은 파란색-흰색-흰색-노란색의 4x3을 출력한 것이다그런데 이 3개의 사각형은 모두 흰색의3x3으로 보인다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1) RGB-RGB-RGB 3개의 점을 나타내고, (2) GBR-GBR-GBR  3개의 점을 나타내고, (3) BRG-BRG-BRG 3개의 점을 나타내기 때문에 사람의 눈으로는 모두 흰색으로 보이는 것이다단지 이 3개의 다른 점이라면 (2) (3)은 정확하게 픽셀에 딱 맞게 떨어지지는 않는다는 정도인데 이러한 편법을 적당히 이용하여 실제 해상도의 한계보다 더 많은 표현 하게 하자는 것이 이 강좌의 핵심이다.

 

그렇다면 이번에는 이 편법의 극적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y = 3x의 그래프를 한 번 그려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은 이전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했을 때이고오른쪽은 픽셀의 경계를 넘어가면서 그렸을 때의 결과이다화면이 마치 가로로 3배의 해상도를 더 가진 것처럼 보인다. DPI(dots per inch)가 큰 경우는 이상하게 보일지는모르겠지만 DPI가 작은 소형 게임기나 휴대폰 등에서는 마치 그 사이에 픽셀이 더 있는 것처럼 보인다. (Bresenham line 그리기 알고리즘도 이 편법으로 개선 시킬 수 있다.)

 

이제 사전 지식도 완벽하고 이 방식을 사용했을 때의 이점도 명확해졌다그렇다면 이것을 어디에 적용할 수 있는지를 생각해볼 차례다물론 그래픽 디자이너에게 이 방법을 알려줘서 256*192 해상도에서도 더 나은 퀄리티를 내게 할 수 있을는지도 모르겠다하지만 이 방법은 단점도 매우 많기 때문에 생각만큼 많은 곳에 응용되지는 못한다.

 

내가 생각한 최고 응용 법은이것을 통해 anti-aliasing 처리를 많이 줄일 수 있을 것이란 생각이다사실 anti-aliasing은 품질을 좋게 하기 위한 방법인데 왜 그걸 줄이느냐고 반문할 사람이 있을 수도 있겠다하지만 anti-aliasing은 ‘좋지 않게 된 품질’(alias가 있는)을 좋은 것처럼 보이게 하는 눈속임일 뿐이다그래서 가장 좋은 방법은 처음부터 alias를 만들지 않는 것이다.

 

그러면 역시 그림을 통해 그 결과를 확인해 보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왼쪽의 선은 y = 3x의 그래프에 anti-aliasing을 집어 넣은 것이고 오른쪽의 선은 픽셀 간 경계를 넘어선 방식이다. (모니터를 멀리하고 떨어져서 보면 두 선의 차이가 구분이 될 것이다)

간혹 그렇게 보았더니왼쪽의 선은 무채색으로 보이는데 오른 쪽은 그렇지 않다라고 생각하는 분도 있을 것이다하지만 제대로 본 것이다위처럼 픽셀을 크게 만들어 놓으면 녹색이 강조되기 때문에 선이 녹색 기준으로 보일 것이다이것은 인간의 시신경의 추상체가 RGB의 휘도를 동일하게 감지 하지 않는 것에 그 이유가 있고그것까지 고려해서 오른쪽 선을 그려야만 진정한 편법이 완성 되는 것이다.

 

 

4. 제약 사항

 

지금까지는 응용 가능한 부분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지만 이번에는 제약 사항에 대해서 알아 보자.

 

-       LCD가 아니면 효과가 좋지 않다. PDP 판넬의 구조를 보면 LCD와 좀 다르다. (제조사마다 다르지만)

-       자신이 적용하고자 하는 디바이스의 LCD 구조에 맞게 구현이 수정되어야 한다. (NDS용이라면 좀 달라져야 한다)

-       검은 바탕에 흰 무엇 또는 흰 바탕에 검은 무엇을 표현할 때 효과가 크다.

 

소형 디바이스라면 대부분 LCD이겠지만 LCD pixel 구성 요소의 배열 구조는 제조사마다 다르다그러므로 그에 맞게 구현이 달라져야 하며설령 배열 구조는 같더라도 pixel pixel 사이의 간격이 큰 LCD라면 역시 적용이 불가능 하다또한 CRT나 일부 PDP의 경우에는 각 픽셀이 사각형의 격자 형식으로 빼곡히 들어가 있는 것이 아니라 interlace 단위로 서로 엇갈려 있는데이 경우도 적용이 불가능 하거나 적용 방식이 달라져야 한다(제일 처음 언급한 이코노 칼라 텔레비전의 구조를 생각하면 된다)

 

이 강좌의 처음에서정보 전달의 요소는 ‘이미지’와 ‘글자’라고 했다그리고 우리의 최종 목표는 이 ‘이미지’와 ‘글자’에 대해제한된 자원에서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전달 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그럼 이 요소들에서 어떤 부분을 개선할 수 있을까위의 강좌 내용만 갖고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이미지’

축소 scaling을 할 때 더 세부적인 위치 정확도까지 묘사할 수 있다.

스프라이트가 더 세부적인 단위로 움직일 수 있다.

 

‘글자’

           - Anti-aliasing 없으면서 alias 없는 출력을 할 수 있다.

           더 작은 해상도에서도 가독성 있는 글자를 출력할 수 있다.

 

예로서 2가지씩만 들어 보았는데나머지는 당신의 창조적인 아이디어로 채워보자.

 

Posted by 안영기

2009/01/15 06:20 2009/01/15 06:20
Response
0 Trackbacks , 9 Comments
RSS :
http://smgal.ismine.net/tc_191/blog1/rss/response/3

Trackback URL : 이 글에는 트랙백을 보낼 수 없습니다

« Previous : 1 :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Next »

블로그 이미지

게임 개발을 기반으로 한, 잡다한 개발 기록 저장소

- 안영기

Notices

Archives

Authors

  1. 안영기

Recent Comments

Recent Trackbacks

Calendar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Site Stats

Total hits:
252104
Today:
91
Yesterday:
165